MULTIREST
연속적으로 쉼표로만 구성된 2개 이상의 마디..
이걸 우리말로 뭐라고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연속 마디 쉼표, 다중 마디 쉼표, 묶음 쉼표 ... ... (공식 명칭을 아는 분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그냥 영어로 Multirest라고 하겠습니다
즉, 이렇게 생긴걸 말합니다
오케스트라나 밴드 음악, 즉 여러 악기가 등장하는 Score에 자주 표현되는 표기법인데,
특히 등장 횟수가 적은 악기들에게 많이 필요한 표기입니다
따라서 총보보다는 파트보에 자주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타악기가 7번째 마디와 19번째 마디에 한번씩,
전체 곡에 총 2번만 등장한다고 했을 경우
이렇게 간단하게 표현 할 수 있는거지요
메인 메뉴의 Layout에 가보면,
Auto Breaks 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저 화살표가 있는 부분이 Multirest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부분입니다
Use Multirest에 체크마크를 하고 OK를 누르면
이렇게 아까의 모양이 됩니다
이 기능은 자동으로 시벨리우스가 인식하는 빈 마디를 모두 묶어주기 때문에
켜면 실행을 하고 안켜면 안하는, 둘 중 하나가 됩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저 모양을 원치 않을 수 도 있지요
예를 들어,
위 예제에서 7번째 마디 이후 19번째 마디에서 시작되기까지 공백은 11마디이지만
연주자가 마디 세기에 도움을 주고자
8마디 - 3마디로 나눠서 표기 하고 싶다면?
이 곳을 체크하시고
Split into groups of [ ] bars 이 곳에 8 이라고 입력하시면
이렇게 8마디씩 끊어 표기 합니다
더 작은 단위로 나누고 싶다면 원하는 숫자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어떤 경우
한 악기가 악장 내내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데
내 파트는 언제 나오나 하고 기다릴 수 있으므로 아예 Tacet(휴지)으로 표현 하고 싶다면
이 부분을 체크하여
이런 표기도 가능합니다
(원하는 다른 표기를 해도 되고, 공란으로 두면 아무 글씨도 쓰여있지 않은 모양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처음 예제에서 실제 타악기의 등장은 7번째 마디이지만,
6번째 마디 부터 Multirest를 풀어서 쓰고 싶을 수 도 있습니다 (혹은 그 외 특정 부분을)
그런 경우,
Multirest 기능을 실행하기 이전에
원하는 마디를 이렇게 (앞부분)을 클릭하여 선택하고
메인 메뉴의 Layout --> Break --> Split Multirest를 클릭하시면
그 마디 위에 이런 모양이 생깁니다
그 후 Multirest 기능을 실행하면
이렇게 6번째 마디 부터 풀어진 Multirest가 됩니다
저 I- -I 모양은 실제 악보를 출력했을 때는 보이지 않으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하 지 만 !
간단하게 단축키를 이용하면 쉽습니다
바로, Command + Shift + M 입니다
이 단축키로 Multirest 기능을 On/Off 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세부 설정은 위에 설명 드린대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Multirest에 대한 Sibelius Tip을 마칩니다
'Tips > Sibeli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belius-시벨리우스] 로직-시벨리우스 악보 변환하기 (0) | 2021.10.07 |
---|---|
[Sibelius-시벨리우스] 시벨리우스 구매 방법 정리 (2) | 2021.10.06 |
[Sibelius-시벨리우스] 음표 머리 모양 바꾸기 (Changing Noteheads) (0) | 2021.10.05 |
[Sibelius-시벨리우스] 총보를 파트보로 나누기(Full Score into Parts) (0) | 2021.10.02 |
[Sibelius-시벨리우스] 잇단음표 (Tuplet) (0)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