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s/Logic Pro X

[Logic Pro X-로직프로] Automation (오토메이션)

Manny Kim 2021. 9. 26. 15:57

Automation (오토메이션)에 대한 기본적 개념과 

Logic Pro X에서 오토메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1. Automation(오토메이션)

오토메이션을 이용하면 음악의 곳곳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어

더 독창적이고 생동감 있는 표현이 가능합니다

 

이를테면, 

내 음악이 흘러가는 중간에 볼륨을 줄였다 키운다든지, 

어느 특정 부분만 이펙트를 걸어 독특한 소리를 낸다든지... 

마치 DJ들이 음악 사이사이에 효과를 주는 것처럼 

Live로, 또는 미리 설정해둔대로 음악에 변화를 주는 것이지요.

 

오토메이션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parameter는 굉장히 많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Volume과 Pan부터,

Solo, Mute, MIDI FX, Audio FX, Send,

가상악기 내부의 수많은 Parameter 들... 등등

대부분의 것들을 제어할 수 있지요

 

오토메이션에는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OFFLINE" "LIVE"

 

OFFLINE은 마우스를 이용해

미리 필요한 parameter들을 제어해두고

언제든지 Playback하면 설정된대로 적용되는 것이고

 

LIVE는 말 그대로 

Playback을 하면서 실시간(Live)으로 내가 움직이는 대로 변화 값을 적용시키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OFFLINE  LIVE
Read   Touch
   Latch
   (Write)


반응형

2. Logic Pro X에서 오토메이션 제어

이제 Logic Pro X에서 오토메이션을 제어해봅시다

오토메이션을 하기 위해서 우선 Automation 보이기 버튼을 누릅니다 

<단축키 A>

 

Offline으로 컨트롤 하기 위해서는 

READ mode로 설정해두고,

Automation Parameter를 고른 뒤

마우스나 MIDI Controller로 원하는대로 그림을 그려주면 됩니다

 

Live로 컨트롤 하기 위해서는

TOUCH LATCH mode로 설정해두고

Automation Parameter를 고른 뒤

PLAY 버튼을 누르고 (Record 버튼이 아닙니다~)

마우스나 MIDI Controller로 제어하면 됩니다 

 

※ Touch와 Latch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기본적인 것은 똑같습니다만

Touch는 마우스로 그림을 그리다가

손을 떼었을 때 처음 설정된 값으로 돌아가는 모드입니다

 

예를 들어, 

Volume을 제어하는데,

오토메이션을 만지기 전의 값이 0dB 이었다면,

내가 위 아래로 볼륨 오토메이션을 그리다가 마우스에서 손을 떼는 순간 다시 0dB로 돌아갑니다

 

그럼 Latch는 뭔지 감이 오시죠?

그림을 그리다가 손을 떼어도 그 값이 그대로 남아 있게 하고 싶으면 Latch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오토메이션에는 Write라는 모드도 있습니다만,

사용하길 권하지 않습니다

저도 권하지 않고 심지어 Logic도 권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패스~

 

그래도 알고 싶으시다면... 

Write모드를 눌러보시면 알게 됩니다

선택하는 순간 경고창이 뜨면서 

한번에 다 지워질 수 있으니 "그냥 Touch나 Latch를 사용하길 권한다..” 라고 나타납니다

그러니.. 저도 권장하지 않겠습니다

 

한 트랙에 여러가지 Automation parameter들을 선택해서 제어할 수 있는데,

아래 그림의 세모 화살표를 누르면 Subtrack이 열립니다

 

이 Subtrack의 왼쪽에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다 대면 아래와 같이

+버튼이 나타나게 되는데,

눌러서 원하는 parameter를 추가 하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오토메이션을 내가 가진 마스터 건반이나 

다른 MIDI Controller의 Fader나 Knob를 이용해서 제어하고 싶다면

MIX > Enable Automation Quick Access를 누르고

 

Assign을 선택한 뒤

자신의 컨트롤러의 원하는 fader나 knob를 움직이고

 

Done을 누르면 설정 됩니다

이것으로 오토메이션에 대한 Logic Pro X Tip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