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s/Logic Pro X

[Logic Pro X-로직프로] 템포 정보, 마커 정보 없이 음원 추출하기 - 업데이트 10.7.5

Manny Kim 2022. 1. 6. 22:23

로직 프로 X이 10.7.5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아주 간단하게 템포 정보를 넣거나 뺄 수 있게 되었습니다.

"There is now an option to Include Tempo Information when bouncing a project."

바운스를 할 때,

바운스 창에서 아래 Include Tempo Information을 체크 또는 체크 해제를 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해결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전글> (마커 정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 있습니다)

 

"로직에서 작업을 마치고 Bounce를 했다.
그 음원을 누군가에게 보냈고 그 사람의 DAW에 올려보았더니 내가 작업하면서 만들었던 템포 변화나 마커 정보가 그대로 남아있었다."
로직에서 작업하고 추출한 음원들은 대체로 이렇게 템포 정보마커 정보가 심겨져 있습니다.
이런 정보가 있는 음원을 다시 로직으로 불러오게 되면

이런 팝업이 나타나면서 "지금 불러온 오디오 파일에는 템포 정보가 있습니다. 불러올까요? 불러오지 말까요?"를 묻습니다.
이 때 Import(불러오기)를 선택하면

이런식으로 템포 정보가 나타나는 것이죠.
저는 로직을 사용하기 때문에 학생들 중 로직으로 작업한 사람의 음원을 불러오면 이렇게 "티"가 나서 지도하는 입장에서는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누군가와 협업을 하는 경우에도 상대방이 로직을 사용한다면 로직 프로젝트 파일이 없이도 바운스된 음원만으로 가능하죠.
영상음악 작업을 할 때는 음원에 마커 정보가 있으면 음악의 어느 부분이 어느 씬의 시작부분이라는 표시가 되어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이게 장점일 수도 있지만,
불필요한 정보가 많이 떠서 가로거치기도 하고, 내 작업한 흔적이 남들에게 그대로 드러나는 것 같아 부끄러울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도 누군가가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을 저에게 묻기에 답해준 내용을 여기에 적어봅니다.

1. 템포 정보 없이 Bounce 하기

우리는 주로 마디(Bar)에 맞춰서 곡 작업을 하기 때문에 Musical Grid (마디가 보이는 음악 격자)가 기본으로 켜져 있는 상태로 작업을 합니다.
로직은 Global Track(단축키 G)의 정보 중 이 "뮤지컬 그리드"위에 적힌 템포 정보를 음원에 심어 내보냅니다.

&amp;nbsp;Musical Grid

이렇게 마디가 나타나는 것이 Musical Grid입니다.
이 위에 템포의 변화를 주는 것인데, 다시 위의 이미지를 예로 들면,
처음에는 115의 템포로 진행되다가
14마디 2박~16마디까지 잠시 112로 느려지고
이후 17마디부터 다시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이런 정보가 바로 Musical Grid 위에 적히게 되는 것이므로
간단히 Musical Grid안보이게 하고 바운스를 하면 템포 정보가 안나타납니다.
방법은
상단 Record 메뉴의 "Use Musical Grid"를 눌러 체크마크를 없애는 것입니다.

정말 간단하죠.

이렇게 Use Musical Grid에 체크마크를 없애면
이렇게 마디 숫자가 나타나지 않고 시간이 나타납니다.
이 상태로 바운스를 하게 되면 템포 정보가 담기지 않습니다.

2. 마커 정보 없이 Bounce하기

이 내용은 오디오 트랙에 마커를 찍어두었을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마커 정보가 보이지 않길 원하는 오디오 리전(들)을 '선택'하고

상단의 Navigate 메뉴를 누릅니다.
Other > Remove Marker from Audio File 을 누릅니다.

이렇게 한 뒤 바운스를 하면 음원에 마커 정보가 입력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하지만 미디 작업시 입력하는 마커 정보는 이 방법으로 없앨 수 없습니다.
조금은 억지스런 방법을 써야하는데,

예로 이런 마커를 입력해 둔 상황이라면,
단순히 저 마커들을 안보이게(?)하는 방법으로 해결합니다.
단축키 G를 눌러 Global Track을 엽니다.

그리고 왼편의 Marker 위에 마우스를 대면 화살표가 나타나는데,

누르면

Marker Sets > Untitled라고 되어있는 부분에 체크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즉, 현재 입력해 둔 마커들은 이 Untitled(무제)라는 '세트'에 입력된 것이며 이 세트가 선택된 것이라는 뜻입니다.
이제, New Set를 눌러서 새로운 세트를 만듭니다. (기존의 세트는 그대로 유지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럼 이렇게 아무 것도 없는 텅빈 상태가 됩니다.

다시 화살표를 눌러 Marker Sets를 눌러보면 Untitled가 또 하나 생겨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현재 텅빈 세트는 지금 체크된 두번째 Untitled이고, 원래의 마커세트는 첫번째 것입니다.
이렇게 마커세트는 여러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헷갈리지 않게 Rename Set를 눌러 세트 이름을 만들어두면 좋겠지요.
이렇게 빈 마커세트를 임시로 만들어 선택한 후 바운스를 하는 방법으로 마커 정보 없는 음원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