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1, 3, 5 기본 3음 위에 근음으로부터 7번째 음을 더해보자.
역시 다이아토닉 음들만 사용하는데,
3화음 위에 한음씩 더 쌓으면 아래와 같은 코드들이 만들어진다.
이때 어떤 코드는 근음으로부터 장7도가 되고 어떤 것은 단7도가 되는데,
Major 코드인 I도와 IV도는 = 장7도 (V도 제외)
Minor 코드인 ii도, iii도, vi도, vii도는 = 단7도가 된다.
I도와 IV의 코드 이름은 Major 7th Chord <*표기 : M7, maj7, △7>
ii도, iii도, vi도 는 minor 7th Chord <*표기 : m7, min7, -7>
그리고 vii도는 (지난 3화음에서 설명했듯) 5도음이 감5도로 된 화음인데,
5도음을 제외하면 minor 7th코드와 같아서 minor 7th flat 5 Chord라고 부른다 (5음이 반음 아래인 minor 7th Chord)
<*표기 : min7 b5, -7b5, ⌀>
V도는 1, 3, 5음은 일반 Major 코드와 같지만, 7도음이 단7도로 되어 있다.
이런 코드를 Dominant 7th Chord, 혹은 딸림 화음이라고 한다. <*표기 : 7>
나중에 다시 설명하겠지만,
Dominant 7th코드의 경우 어떤 방향성이 생기는데,
이 코드를 연주하고 I도와 같은 Tonic 코드로 이동하지 않으면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는다.
앞으로 알게 될 Cadence (케이던스, 종지)의 주범(?)이다.
근음(1)은 : 그 코드의 뿌리와 같은 음이고,
3음은 : Major와 minor를 구분 짓는, 성별을 감별하는 것 처럼 중요한 음이며,
5음은 : 근음과의 배음 관계상 울림이 가장 완전하게 어우러지는 음이며,
7음은 : 코드에 구체적인 방향성과 색채감을 준다.
특히 재즈에서는 오늘 다룬 7th Chord가 기본으로 사용되는데,
코드의 구성음 중에서 3음과 7음은 특별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앞으로 공부하게 될 Voicing(보이싱)에서 코드의 뼈대를 이루는 음들이다.
이 두음을 GUIDE TONE이라고 부르며,
근음+G.T.을 누르는 연습을 많이 해두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CMaj7 코드라면
피아노 왼손으로 1 3 7 (C + E + B) 혹은 순서를 바꿔서 1 7 3 (C + B + E)를 누르는 연습을 하자.
1 7 3의 경우 손이 작은 사람은 어렵지만 스트레칭을 많이 해서 연습하길 권한다.
'Tips > 매니악의 음악이론 Music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 작업에 자주 사용하는 MIDI CC번호 (0) | 2023.05.05 |
---|---|
음악 이론 - 코드의 역할적 분류 I - Tonic, Subdominant, Dominant (2) | 2022.09.20 |
음악 이론 - 마이너 스케일 1 - Natural Minor Scale (자연 단음계) (0) | 2022.08.23 |
음악 이론 - 코드의 구성음(Triad)과 다이아토닉 코드 (Diatonic Chords) (0) | 2022.07.18 |
음악 이론 - 모드 스케일 1 - 각 모드별 색채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