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7

Native Instruments 컴플릿(Komplete) 시리즈 저렴하게 구매하기 - Summer of Sound 2023 썸머 세일

Native Instrument의 Kontakt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악기들과 신스, 이펙터 및 익스팬션을 총망라하는 모음인 KOMPLETE는 매해 새로운 버전을 출시할 때마다 어떤 제품들이 새로 포함되는지 기대하게 합니다. 보통 늦가을에 새로운 KOMPLETE 시리즈를 발표하는데, KOMPLETE 14도 작년 11월에 출시가 됐었습니다. 저는 보통 출시된 직후 (블랙프라이데이나 연말 세일 기간) 구입하지 않고, 이듬해 썸머 세일기간을 노리는데, 그 이유는 가장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출시가 되자 마자 구입해서 빨리 새로운 사운드를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몇개월 기다려서 50%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할 때면 기다린 보람을 느낍니다. 이번에도 "Summer of Sound 2023"세일이 시작됐다는 뉴스를 보자..

Keyscape Creative 새로운 패치 업데이트 (New Patches) 소식 (v1.6)

지난번에 Spectrasonics의 키스케이프 1.5버전 업데이트 소식을 전해드리며, 새로운 Double Felt Grand 펠트 피아노 악기에 대해 말씀드렸었는데, 이번에는 그 사운드들과 옴니스피어의 혼합으로 새로운 패치들이 나왔다고 합니다. 키스케이프와 옴니스피어를 모두 사용하는 유저들은, Kesycape Creative라는 패치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250개 이상의 패치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소리는 총 1500개 이상이 됩니다. 이번에도 역시 등록된 유저들에게는 무료로 업데이트를 제공해준다고 합니다. 아래는 스펙트라소닉스 홈페이지에 공개된 이번 업데이트에 대한 소식을 제가 번역한 내용입니다. New Version of Keyscape Creative Library Free U..

음악 작업에 자주 사용하는 MIDI CC번호

CC란 Control Change의 약자이다. Continuous Control(Controller)의 약자로도 사용된다. 즉, 조절해서 변화를 주는 신호인데, 디지털 음악의 시대에 MIDI로 음악을 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두어야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MIDI라는 신호 규격은 1983년도에 공식적으로 공개가 되었다. 2021년에 MIDI 2.0이 발표되어 Roland A88 MK2와 같은 몇몇 장비들은 새 버전을 지원하고 있으나 여전히 40년 정도 된 기존 버전(1.0)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MIDI (1.0 이하 MIDI) 신호는 각 파라미터 당 128개의 값이 있다. MIDI 장치나 DAW, Software instrument 등에서 숫자 0-127을 자주 볼 수 있는데 “0”도 한 단계이므로..

Spectrasonics Keyscape(키스케이프) V 1.5 - Double Felt Grand 무료 업데이트 패치 - Felt Piano에 대해

요즘 많은 가상악기 회사에서 Felt Piano(펠트 피아노)를 출시하는 중에 Spectrasonics(스펙트라소닉스)에서도 펠트 피아노 소리 패치를 지난달에 새롭게 출시했습니다. 스펙트라소닉스에는 가상악기가 4가지만 있는데 다른 회사들 처럼 새로운 악기를 계속해서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큼지막한 것을 만들어 놓고 그 안에서 업데이트나 패치를 추가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번에 나온 Double Felt Grand는 기존의 건반 악기 모음인 키스케이프를 가지고 있다면 업데이트를 통해 누구나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키스케이프를 사용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V1.5으로 업데이트를 하셔서 펠트 피아노 소리를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요즘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일반 피아노와는 다른 느낌을 주기 위해 ..

[세일정보] 스펙트라소닉스(Spectrasonics) 2022년 세일

스펙트라소닉스(Spectrasonics)의 4가지 악기 Omnisphere 2 ⎟Trillian ⎟Kescape ⎟Stylus RMX를 현재 국내 리셀러인 기어라운지 (https://gearlounge.com)에서 세일 중입니다. 매해 연말이 되면 스펙트라소닉스의 가상악기들을 기어라운지에서 약 10만원 정도 세일을 하는데, 올해도 어김 없이 할인가격으로 판매 중입니다. 단 올해는 **IMSTA FESTA Seoul 2022 기념으로 세일을 진행 중이며, 기간이 작년보다 짧습니다. (2022. 11. 14 - 11. 25) 구입을 고려하고 계신 분들은 서두르셔야겠습니다. 출시 된지 여러 해가 지나도 여전히 퀄리티에 있어서는 최상급이라 할 수 있는 Spectrasonics! 국민 베이스 가상악기라 불리우는 ..

음악 이론 - 코드의 역할적 분류 I - Tonic, Subdominant, Dominant

지난 내용들을 통해 메이저 스케일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기본 코드들, 즉 Diatonic(다이어토닉) 코드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 그 코드들이 곡의 진행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메이저 스케일상의 음들 위에 각각 3도 간격으로 음을 쌓으면 아래와 같은 코드들이 만들어지며, 음을 4개까지 쌓은 코드를 우리는 7th Chord라고 부른다. 가장 밑에 있는 음으로부터 7도(장7 or 단7) 위의 음을 쌓았다는 뜻이다. Tonic, Dominant, 그리고 Subdominant 이렇게 만들어진 7개의 다이어토닉 코드들은 해당 조성(키)의 곡에서는 언제 나와도 어색할 것 없는 친구들이다. 같은 메이저 스케일상의 음들로만 만들어진 애초에 같은 집 태생들이기 때문에 한 집에 돌아다녀도 아무 문제..

음악 이론 - 7화음 - 7th(Seventh) Chord, 그리고 Guide Tone(가이드 톤)

이제 1, 3, 5 기본 3음 위에 근음으로부터 7번째 음을 더해보자. 역시 다이아토닉 음들만 사용하는데, 3화음 위에 한음씩 더 쌓으면 아래와 같은 코드들이 만들어진다. 이때 어떤 코드는 근음으로부터 장7도가 되고 어떤 것은 단7도가 되는데, Major 코드인 I도와 IV도는 = 장7도 (V도 제외) Minor 코드인 ii도, iii도, vi도, vii도는 = 단7도가 된다. I도와 IV의 코드 이름은 Major 7th Chord ii도, iii도, vi도 는 minor 7th Chord 그리고 vii도는 (지난 3화음에서 설명했듯) 5도음이 감5도로 된 화음인데, 5도음을 제외하면 minor 7th코드와 같아서 minor 7th flat 5 Chord라고 부른다 (5음이 반음 아래인 minor 7th..

Native Instruments KOMPLETE 14 출시!

오늘 Native Instruments의 KOMPLETE 14의 출시에 대한 공식 발표가 올라왔습니다. 9월 27일에 공식 출시가 될 예정이며 오늘부터 Pre-Order가 가능합니다. 어떤 구성인지 살펴보니, 눈에 띄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KONTAKT 7 고해상도의 화질과, 개선된 팩토리 라이브러리, 새로운 이펙트들과 더 나아진 내부 오디오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얼핏보니 확실히 GUI가 달라보이는데, 실제 기능적인 부분에는 어떤 구체적인 변화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둘째, iZotope(아이조톱)이나 Plugin Alliance(플러그인 얼라이언스)같은 큰 플러그인 회사들과 제휴로 마스터링 플러그인으로 유명한 iZotope의 Ozone 10 Standard, 각종 유명 회사들의 플러그인들을 취급하..

음악 이론 - 마이너 스케일 1 - Natural Minor Scale (자연 단음계)

메이저 스케일이 익숙해졌다면 이제 마이너 스케일을 알아보자. 먼저 관계조, 그 중 “나란한 조”에 대해 알아보고 그 구성을 이해해보자. C Major 스케일의 구성음은 피아노 건반 모양 그대로 C D E F G A B 이상 7개음이다. 이것을 C에서 시작하지 않고 단3도 아래음인 A에서 시작하면 A B C D E F G 가 되고 이것은 A minor 스케일이 된다. 이때 C Major와 A minor는 “나란한 조”라고 한다. 이것을 Relative minor(관계단조)라고도 한다. A minor scale의 소리를 들어보면 C Major 스케일의 소리와는 확실히 다르게 어둡고 슬픈 느낌이 난다. 같은 구성음인데도 시작음이 다르니 느낌이 확연히 달라진다. 그렇다면 어떤 음정관계가 이런 느낌의 차이를 주는..

음악 이론 - 코드의 구성음(Triad)과 다이아토닉 코드 (Diatonic Chords)

코드를 이해하기 전에 항상 메이저 스케일을 기본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지금 설명하고 있는 기본 코드들은 그 메이저 스케일의 구성음으로만 만들어진다. 화성학에서는 음들을 숫자로 표현한다. 특히 홀수의 음들을 주로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1 3 5 7 9 11 13 이라는 숫자들에 익숙해져야 한다. 코드의 기본 구성음은 1 3 5이다. 이렇게 세개의 음으로 구성된 코드를 3화음이라고 한다. 1 3 5, 즉 피아노 건반에서 한 음씩 건너뛴 음들을 한번에 누르게 되면 코드가 된다. 코드를 구성하는 이 세 구성음을 트라이어드 (Triad)라고 한다. 1음은 근음(Root)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음이다. 3음은 근음으로부터 장3도냐 단3도냐에 따라 코드의 성질이 바뀐다. 마치 성별을 감별하듯 이 음으로 메이저 ..